노인이 되었다고 건강관리를 소홀하게 하면 더 안되는거 아시지요? 노인 국가건강검진 항목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, 국가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하는방법까지 자세하게 알아보고 대상자가 되는 기준은 무엇인지, 신청 및 준비방법과 유의사항까지 살펴보겠습니다.

목록
1. 노인국가건강검진 대상자 기준
2025년 기준으로 만 66세 이상(65세 포함 운영 확대 예정)은 국가건강검진의 노인 특화 항목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격년제 방식: 홀짝 연도 출생에 따라 대상(20세 이상 일반검진 기준)
- 의료급여 수급권자 66세 이상은 매년 검진 대상
2. 검진 항목
2‑1. 공통 항목
혈압, 혈당, 콜레스테롤, 간·신장 기능, 흉부 X‑선, 구강검진 등 모든 연령의 공통 건강검진 항목 포함
2‑2. 노인 특화 항목 (65/66세 이상)
- 골밀도 검사 (여성 54, 60, 66세)
- 인지기능장애 검사 (66세 이상, 2년 주기)
- 노인 신체기능검사 (66, 70, 80세) – 낙상, 근력·균형 평가
- 정신건강(우울증)검사 (70~79세, 1회)
- 생활습관평가 (70세, 1회) – 음주·흡연·운동·영양
3. 노인 국가건강검진 신청 및 준비
3‑1. 대상자 확인
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, ‘The건강보험’ 앱, 1577‑1000, 매년 초 우편 안내
3‑2. 신청 절차
- 온라인/전화로 검진 예약
- 검진 전날 저녁부터 금식(8시간 이상)
- 검진 후 결과는 2주 이내 우편 또는 이메일로 수신
3‑3. 비용 안내
- 건강보험 가입자: 기본 항목 무료, 일부 암검진 본인부담(10%)
- 의료급여 수급자: 전 항목 무료
4. 항목 요약표
항목 | 대상 연령 | 주기 |
---|---|---|
골밀도 검사 (여성) | 54, 60, 66세 | 1회 |
인지기능장애 검사 | 66세 이상 | 2년 |
노인 신체기능검사 | 66, 70, 80세 | 1회 |
정신건강(우울증)검사 | 70~79세 | 1회 |
생활습관평가 | 70세 | 1회 |
※ 표는 보건복지부 고시·국민건강보험공단 기준으로 정확히 정리됨.
5. 유의사항 & FAQ
5‑1. 재검진 필요 시
이상 결과는 지정병의원에서 추적검사 권고. 공단 사이트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5‑2. 외국 국적자
국민건강보험 가입 시 동일하게 검진 대상자에 포함됩니다. 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.
5‑3. 검진 예약 시기
상반기(1~6월) 수검 권장드리며, 금식은 전날 밤 9시 이후부터 시작해보실 수 있습니다.
✅ 마무리
2025년부터 강화된 노인 국가 건강검진은 골밀도·인지·신체기능·정신건강·생활습관 항목을 포함하여, 만 66세 이상의 고령층에게 큰 지원이 되고 있습니다.
표로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놓치지 말고 챙겨보시기 바랍니다.